산업사회의 핵심은? 산업사회 이전에 생산자, 소비자의 역할을 하던 사회가 생산을 하는 기업, 소비를 하는 개인으로 나뉘게 된 것 이다. 바로 기업이란게 생김으로서 생산의 기능을 개인에게 뺏어오게 된건데...
자본주의 사회의 선도자인 기업...이 기업의 절대절명의 과제는 이익을 올리는 것이다. 자본을 투자해 이득을 낼 수 없으면 퇴출 될 수 밖에 없다. 이 기업의 CORE는 뭘까? 바로 자본...자본의 소통 언어는 뭘까?
나에게 소통 언어는 뭘까? 영어, 한국이다. 다시 자본의 언어는?? 바로 숫자이다. 이 숫자로 기업들끼리 소통을 한다. 상대방 기업의 재무재표, 현금흐름표의 숫자를 보고 상대방 기업의 건전성, 유동성, 수익성을 판단을 한다.
한국어의 규칙은 세종대왕과 여러 학자에 의해 만들어져 몇 백년동안 쓰여지며 사람들의 편리에 의해 더해지고 빼져서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다.
기업들의 언어는 바로 숫자이고 기업들이 장부에 쓰는 숫자에 대한 규칙은 바로 회계이다. 국제회계위원회에서 세계 기업들의 공식 언어 규칙을 통일하기 일보직전이다. IFRS.
영국 런던에 유럽식 회계 방식을 고집하던 국제회계위원회가 GAAP방식을 쓰는 미국회계방식을 무너뜨리고 세계를 제패한다.
영어가 세계 커뮤니케이션을 제패했고 국제화폐를 달러로 제패했듯 국제 회계 기준(IFRS) 이 세계를 제패함에 따라 영미식의 자본주의 사회의 한층 막강한 힘에 우린 Follower가 될 수 밖에 없다. 앞으로 국제 자본의 이동이 더 빨라지고 자본의 힘의 논리가 더 공고해 질 수 밖에 없는 세계 정세에서 난 도대체 뭘 할 수 있는가...
그 들을 이해하고 대항하는 힘을 기르기 위해선 우선 호랑이 굴에 들어가야 한다. 배워야지...국제회계기준...
와.. 대단하다.. 보면 볼수록 이해가 빠르지만.. 그렇게 느낄수록 더 커져만 가는 존경심 ㅋ
자본주의 사회의 선도자인 기업...이 기업의 절대절명의 과제는 이익을 올리는 것이다. 자본을 투자해 이득을 낼 수 없으면 퇴출 될 수 밖에 없다. 이 기업의 CORE는 뭘까? 바로 자본...자본의 소통 언어는 뭘까?
나에게 소통 언어는 뭘까? 영어, 한국이다. 다시 자본의 언어는?? 바로 숫자이다. 이 숫자로 기업들끼리 소통을 한다. 상대방 기업의 재무재표, 현금흐름표의 숫자를 보고 상대방 기업의 건전성, 유동성, 수익성을 판단을 한다.
한국어의 규칙은 세종대왕과 여러 학자에 의해 만들어져 몇 백년동안 쓰여지며 사람들의 편리에 의해 더해지고 빼져서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다.
기업들의 언어는 바로 숫자이고 기업들이 장부에 쓰는 숫자에 대한 규칙은 바로 회계이다. 국제회계위원회에서 세계 기업들의 공식 언어 규칙을 통일하기 일보직전이다. IFRS.
영국 런던에 유럽식 회계 방식을 고집하던 국제회계위원회가 GAAP방식을 쓰는 미국회계방식을 무너뜨리고 세계를 제패한다.
영어가 세계 커뮤니케이션을 제패했고 국제화폐를 달러로 제패했듯 국제 회계 기준(IFRS) 이 세계를 제패함에 따라 영미식의 자본주의 사회의 한층 막강한 힘에 우린 Follower가 될 수 밖에 없다. 앞으로 국제 자본의 이동이 더 빨라지고 자본의 힘의 논리가 더 공고해 질 수 밖에 없는 세계 정세에서 난 도대체 뭘 할 수 있는가...
그 들을 이해하고 대항하는 힘을 기르기 위해선 우선 호랑이 굴에 들어가야 한다. 배워야지...국제회계기준...
와.. 대단하다.. 보면 볼수록 이해가 빠르지만.. 그렇게 느낄수록 더 커져만 가는 존경심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