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ux

ALSA device default 값 조정 ALSA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로딩되어져 있는 상태에서 default 값을 바꾸고 싶은 경우가 생겼다. 이유는 gst-launch 를 이용함에 있어 gstreamer 의 alsasink 는 /dev/snd/pcmc0d0p 이 부분을 무조건 읽어온다. 하지만 여기서 /dev/snd/pcmc0d1p 를 읽어오고 싶을때는 어떻게 해야될까? 현재 aplay 를 통해서 본 결과 # aplay -l **** List of PLAYBACK Hardware Devices **** card 0: EVM [EVM], device 0: AIC3X tlv320aic3x-hifi-0 [] Subdevices: 1/1 Subdevice #0: subdevice #0 card 0: EVM [EVM], device 1: hdmi HD.. 더보기
우분투 최신 커널로 컴파일 하기 (2/2) 5. kernel make menuconfig #kernel make menuconfig 바로 저장 완료 후 6. 컴파일 컴파일 완료 후 다음과 같은 에러 발생 시 조치 ERROR: "__modver_version_show" [drivers/staging/rts5139/rts5139.ko] undefined!WARNING: modpost: Found 12 setion mismatch(es). 이런 메시지 발생 시 make menuconfig 하여 driver -> staging -> rts5139 해제 다시 컴파일 7. 모듈 컴파일 $ sudo make $ sudo make modules$ sudo make modules_install$ sudo make install 완료 재부팅 하면 자신이 만들어 놓.. 더보기
우분투 최신 커널로 컴파일 하기 (1/2) 먼저 우분투 최신 소스를 다운 받아야 한다. linux version : ubuntu 12.04 kernel version : linux 3.5.0 1. 사이트 방문 http://www.ubuntuupdates.org/package/xorg-edgers/precise/main/base/linux-source-3.5.0 밑의 하단의 "APT INSTALL" 클릭 2. 소스 다운로드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화면이 나와서 설치를 하게 되면 완료가 되면 저 상태가 된다. 이렇게 되면 소스가 다 다운로드가 된 상태이다. 3. 압축 풀기 압축 풀기를 완료 한 후 4. .config 복사 하기 자신의 boot 디렉토리에 있는 config 파일을 복사한다. 복사를 완료 다음화에 계속 더보기
우분투 최신 커널 업데이트 하기 우분투 최신 커널 컴파일 작업 하기 ubuntu 12.04 (kernel 3.5) 간단한 apt-get 의 업데이트를 통한 커널 컴파일 하기 위의 사이트를 참조해서 똑같이 행동 하면 된다. sudo gedit /etc/apt/sources.list # Ubuntu Quantal Quetzal Repositories deb http://security.ubuntu.com/ubuntu quantal-security main universe restricted multiverse deb-src http://security.ubuntu.com/ubuntu quantal-security main universe restricted multiverse deb http://archive.ubuntu.com/ubunt.. 더보기
rmmod: chdir No such file or directory 오랜만에 포스팅 하나 할 주제가 생겼다 ㅋ rmmod: chdir(2.6.32.9): No such file or directory 위와 같은 에러메시지가 나오는 경우... 다음과 같다. 여기 linux question이라는 곳이 자주 들어가는데 이렇게 유용하게 사용할줄이야... 1. rmmod 할때 .ko 를 삭제한다 2. /lib/modules/2.6.32.9(저기 나온 이름을 사용) 하여 디렉토리를 만들고 해제하면 완료 참조 : http://www.linuxquestions.org/questions/linux-kernel-70/rmmod-doesnt-work-properly-795960/ 더보기
Virtual Box 사용하여 Gentoo 설치하기 Virtual Box 사용하여 Gentoo 를 설치 하려고 하는데 문제가 생겼다 다음과 같은 에러가 나왔던 것이다. This kernel requires the following features not present on the CPU: pae Unable to boot - please use a kernel appropriate for you CPU 이상태로 계속 설치가 진행이 안되는 것이었다. 예전에 VMware 로 페도라를 설치할때 이런 현상이 나왔기에 혹시 Virtual Box 버전이 낮아서 그런건가 해서 다시 재설치로 최신 버전으로 설치를 해봤지만 여전했다. 영어만 제대로 읽었더라면.. 바로 해결했을텐데... 얘꿎은 구글링만 하다가 우연히 CPU PAE 를 보게 되었다.. 앗 된장 바로 바꿔주니.. 더보기
나의 vimrc 의 설정ㅋ 하... 왜이리 초라해보이지 ㅋ 후아... 다른사람들 설정 보면 완전 복잡하던데 난.. ㅋㅋ 좀더 멋진 설정과 편안하게 쓸수 있게 조정좀 해야겠다 ㅎ 나중에 필요할때 볼것 ㅋ 더보기
libext 에러 cannot find -lexpat 그림과 cannot find -lexpat 라는 메시지가 나온다 expat.so 라든지 expat.so.0.50.0 경로를 잡아줘도 저런 현상이 계속 나왔다 그래서 yum 으로 libext 오타 libexpat 를 설치해줘도 이미 설치 되어 있다고 나온다 그렇게 되면 root@localhost#]yum install libexpat-devel 이 과정을 rpm 이지만 개발수준의 소스를 설치해주는것이다 맨처음에 libexpat-dev 라고만 쳤다가 왜이리 헤맨건지.. 여튼 저렇게 하고 다시 confiure 설정을 잡으니 설치 완료 더보기
나의 삼바 설정 언제 포멧하게 될지 모르기 때문에 삼바 설정을 캡처해서 저장해 놓자 그리고 가운데는 user=share 로 하여 모두가 아이디 없이 접속할수 있게 해놓으면 내가 해놓은 삼바 설정 그대로다 ㅋ 나중에 삼바 할때 여기 참조 해서 할수 있도록 ㅎ 더보기
Virtual Box (VERR_SUPLIB_WORLD_WRITABLE) 현상 이거 해결하느라 오늘 하루 종일 헤맸다 ㅠ Failed to load VMMR0.r0 (VERR_SUPLIB_WORLD_WRITABLE) Unknown error Creating VM (VERR_SUPLIB_WORLD_WRITABLE) 이런 현상이 나오는건.. 정확한 원인은 모르지만.. Virtual 4.0 으로 업그레이드 하면서 나왔었다. Wine 을 써서 그런것 같기도 하고... 참조 사이트 http://answers.yahoo.com/question/index?qid=20110209131413AAZmufr 이곳을 살펴본 결과 Virtual 이 깔려 있는 디렉토리에 가서 chmod o-w /opt 이런식으로 하면 해결이 된다 와.. 이거 한번 해볼려다가 난리 날뻔했네... 그래도 간신히 해결했네 ㅠ .. 더보기
YUM 으로 GCC 인스톨 하기 너무 쉽다 YUM 만 깔려있다면 바로 가능 다음과 같다 그림과 같이 인스톨 하면 완료 다음에 기회가 되면.. GCC 를 사용하여 GCC 를 설치해봐야겠다 ㅋㅋ 더보기
Fire Fox 플러그인 설치하기 (2) 아까에 이어 yum 버전과 RPM 버전을 설치한다 이번에는 YUM 버전으로 다음과 같이 설치 이번에는 RPM 버전으로 이렇게 3가지 모두다 설치를 해놓으면 다음에 파이어폭스 브라우저를 오픈하면 플러그인을 설치하라는 메시지는 안 뜬다. 더보기
Fire Fox 플러그인 설치하기 Fire Fox 를 처음 키게 되면 플러그 인을 설치하라고 나온다 이상하게도 자동으로 설치하면 설치가 안된다. 수동으로 설치를 해보자 수동설치를 누르면 다음과 같은 페이지로 이동한다. 여기 있는 메뉴가 내가 알기로 6가지정도 나오는데.. 여기서 3가지 정도 중복해서 설치하다보면 플러그인이 깔리게 된다. tar.gz 먼저 다운을 받는다 다음과 같은 파일을 받고 압축을 풀어서 설치 한다. 더보기
centos 5.5 입문 centos 5.5 를 설치 완료 하였다 원래 페도라 11 을 쓰고 있기에.. 배포판 설치는 어렵지 않았다 처음 모습 다음에 터미널을 패널과 바탕화면에 추가해주었다. 다음에 바로 GCC 를 설치하였다 YUM 으로.... root@loaclhost]#yum -y install gcc 여기까지 초보자 입문 완료료 더보기
lrzsz cross-compile 예전에 분명히 해봤던 기억이 있는데 실제로 다시 해보려니 안되었다.. [root@localhost]# ./configure --host=arm [root@localhost]# make 흠.. 이런식은 당연히 안되었다 ㅋ 다시 [root@localhost]# ./configure --host=arm [root@localhost]# vi Makefile 에서 CC 부분을 gcc -> arm-linux-gcc 로 바꾸었다. 그래도 안됨 ㅠ 그래서 인터넷 검색해봤음 참조 :http://tadoms.tistory.com/category/OS http://www.ohse.de/uwe/software/lrzsz.html [root@localhost]# CC=arm-linux-gcc ./configure --host=.. 더보기
ctags.... vim 에서 ctags 를 사용하여 /usr/include/* 모든것을 tags 로 만들어서 쓰려고 했는데 root#ctags /usr/include/* -R 이런식으로 치니.. command not found... 없다고 한다 그렇다면 yum 으로 인스톨 ㄲ root#yum install ctags 인스톨 완료 후 다시 저 명령을 친 후 ctags 설정을 완료 한 후 검색할 코드부분에서 Ctrl + ] 했는데 안나왔다 구글링 결과 ctags 의 기본값은 프로토 타입을 미 포함시킨다는것이다. 출처 : http://kldp.org/node/79117 위의 manpage 에서 나오는것처럼.. (아우.. ㅡ_ㅡ 영어 실력 너무 없네 영어공부좀 해야겠다 ㅋㅋ) 결과 root#ctags --c-kinds=+p -.. 더보기
QtFprot 설치하기2 저번에 진행 했던것처럼 했는데.. 이번엔 또 이런 에러가 발생 ㅠ X 가 없다는 뜻이었다... 구글링 해서 X 를 설치해줘야된다는 얘기를 듣고 root#yum install x-dev libx11-dev xlibs-dev kdebase-dev 해주면 된다 했는데 안된다 ㅠ 출처 : http://pchero21.com/128 우분투 호환이라 그런가.. 그래서 여차 저자 해서 검색해서 다시 해보니 root#yum install libX11-devel 이게 바로 fedora 11 전용인가보다 막 인스톨이 되서 했더니.. root#./confiure 다시 위의 그림처럼.. ㅠ 그래서 다시 구글링 한 결과 root#yum install qt-devel 를 하라는거다.. 왜 qt 랑 상관 있지 하고... 했는데 그.. 더보기
QtFprot 설치하기1 QtFprot 0.2.1c ver 을 찾아서 설치 해보려고 한다. http://kde-apps.org/content/show.php?content=10381 로 가서 다운 받았다. root#tar -jxvf qtfprot-0.2.1c.tar.bz 압출을 풀고 해당디렉토리로 가서 root#./confgure 했더니 다음과 같은 에러가 나왔다. 구글링 한 결과 c++ preprocessor 이 설치가 안되어 있다고 한것이다. 그래서 yum 으로 인스톨 root#yum install gcc-c++ libstdc++-devel 했더니 에러나던 부분은 처리 완료 출처 : http://kldp.org/node/38915 더보기
인터럽트 관련 에러 warning : ignoring return value of request_irq' declared with attribute warn_unused_result 인터럽트 테스트 코드 컴파일중에 다음과 같은 경고메시지가 나왔다 커널은 민감해서 경고를 사소한거라도 출력해준다고 했다. 선생님꼐 물어보니 리턴값을 넣어줘야 한다고했다 밑에 보는것처럼 넣어줬다 Change 가 새로 바뀐것이고 Before Change 가 전에 넣었던 방식이다. 저렇게 하면 안된다는것을 깨달았다. 더보기
우분투에서 root 계정 사용하기 내가 알기로 우분투는 root 계정을 사용할때 sudo 라는 것을 사용한것으로 알고 있었다. 하지만 우분투 강사의 TIP 하나에 의해 사용 할수 있게 되었다. 위의 그림과 같이 sudo(루트계정의 명령어로 passwd(패스워드 변경 명령어) root(해당아이디) 이런식으로 명령어를 사용하게 되면 root 계정의 암호가 바뀌면서 로그인이 가능해진다. 밑에 사진은 로그인이 안될때와 될때 위와 같이 로그인이 성공된 것을 볼수 있다. 더보기